1.공급
공급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이 같을 때, 가격이 하락(증가)하면 공급량이 감소(증가)한다.
<공급표>
위에서 서술된 공급법칙처럼, 가격이 오르면 공급량이 오르는 이유는 판매자가 가격이 비쌀 수록 팔고자 하는 욕구가 크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과연 가격이 싸다고 판매자가 덜 팔고 싶어할까?
비용 측면에서 이야기를 해 보면 위와 같은 의문이 풀린다. 이후 다른 포스트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기업의 한계 비용은 체증한다. (한계비용이 체증한다는 것은 생산량을 늘릴 수록 한 단위 재화를 더 만드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생산량이 점점 늘어날 수록 받고자 하는 가격이 더 오른다는 것이다. 생산자 입장에서는 최소한 비용만큼은 가격을 받아야 손해가 없기 때문이다.
<공급곡선>
위 표를 옮기면 다음과 같은 공급곡선이 나타난다. 공급곡선은 우상향하는 형태를 띤다.
Q(Quantity)는 공급량, P(Price)는 가격, S는 공급함수를 나타낸다.
<공급의 변동요인)> - 공급과 공급량은 다르다. 공급량은 점의 개념이며 공급은 선의 개념이다. 공급곡선에서 공급량은 가격에 의해서만 변동하며 공급은 다음과 같은 공급의 변동요인에 의해 변동한다. 즉 공급량이 증감한다는 것은 공급곡선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인 반면 공급의 증감한다는 것은 공급곡선 자체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이다. (공급의 변동요인들은 공급법칙에서 '공급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생산요소의 가격, 기술수준, 미래 가격 변화, 판매자 수 변화
생산요소의 가격이 낮아지거나 기술수준이 향상되면 생산비용이 줄어드는 셈이므로 공급이 증가(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할 것이다. 물론 생산요소의 가격이 오르면 공급은 감소할 것이다.
한편 미래에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면 나중에 높은 가격에 팔기 위해 공급을 줄일 것이며, 미래 가격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가격이 떨어지기 전에 빨리 팔아버리려 할 것이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탄력성-수요의 소득탄력성/수요의 교차탄력성 (0) | 2021.07.29 |
---|---|
3.탄력성-가격탄력성/수요의 가격탄력성/공급의 가격탄력성 (0) | 2021.04.27 |
2.수요-공급모형 - 시장의 균형과 이동 (0) | 2021.04.23 |
2. 수요-공급 모형 - 수요곡선/수요의 변동요인 (0) | 2021.03.20 |
1.미시경제학-경제주체/합리적의사결정(편익과 비용) (0) | 2021.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