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요의 소득탄력성

 탄력성에는 가격탄력성만 있는 것이 아니다. 소득탄력성도 미시경제학에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소득의 변황 따라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전에 살펴보았던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양수에서 1을 기준으로 탄력적이냐 비탄력적이냐를 비교하였는데, 소득탄력성의 경우 0을 기준으로 음수이냐, 양수이냐를 판단한다.

 

수요의 소득탄력성 공식

  수요의 가격탄력성 공식은 다음과 같다.

 

 그런데 우리가 생각하는 대부분의 재화는 소득의 변화율과 수요량의 변화율이 비례할 것이다. 즉 소득이 증가하면 수요량 역시 함께 증가할 것이다. (소득의 변화율도 양수(+), 수요량의 변화율도 양수(+)) 지금은 사고 싶어도 못 사지만 소득이 높았다면 구매할 의향이 있는 재화나 서비스들, 혹은 지금도 소비하기는 하지만 더 소비하고 싶은 재화나 서비스들 말이다. 이러한 재화를 정상재라고 한다. 소득의 변화율과 수요량의 변화율이 같은 방향이므로 정상재의 소득탄력성은 0보다 크다. (소득의 변화율이 음수라면 정상재 수요량의 변화율도 역시 음수일 것이다.)

 

 소득의 변화율과 수요량의 변화율이 반대인 재화도 있다. 이러한 재화들은 내가 소득이 낮기 때문에 억지로 소비하는 재화들이다. 즉,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를 줄일 재화들이다. 대표적인 예시로 라면을 든다. 지금은 내가 돈이 없어 라면을 먹지만, 더 소득이 높으면 스테이크를 썰겠다는 것이다. (물론 라면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소득이 증가해도 소비를 줄이지 않을 것이다. 기준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재화를 열등재라고 한다. 열등재는 소득의 변화율과 수요량의 변화율이 반비례 하므로 소득탄력성이 0보다 작다. (소득의 변화율이 양수(+)라면 수요량의 변화율은 음수(-)가 된다.)

 

 

 소득탄력성을 더 세분화 할 수도 있다.

 소득이 증가할 때마다 수요량도 증가하긴 하는데, 소득이 조금 증가해도 수요량이 크게 증가하는 재화가 있고, 소득이 아주 많이 증가해도 수요량의 증가가 변변찮은 재화들이 있다.

 예를 들어 A재화는 소득이 10 증가할 때 수요량이 100 증가하는데, B재화는 소득이 10 증가해도 수요량이 1만큼 밖에 증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A재화같은 특성을 가진 재화를 사치재라고 하고, B재화 같은 특성을 가진 재화를 필수재라고 한다. 아주 직관적인 이름이다. 사치품의 경우 소득의 변화에 따라 수요량이 크게 변화하겠으나, 상식적으로 휴지나 쌀과 같은 필수재는 소득이 늘어나는대로 많이 소비하진 않을 것이다. 소득이 늘어난다고 해서 하루 세끼 먹던 밥을 열끼씩 먹지는 않듯이 말이다.

 

소득탄력성 정리

 정리하면 위와 같다. 필수재와 사치재는 모두 소득탄력성이 0보다 크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으므로 모두 정상재의 하위 개념들이라고 보면 되겠다.

 

2. 수요의 교차탄력성

 수요의 교차탄력성은 두 재화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지표이다. 2장에서 알아보았던 대체재와 보완재를 교차탄력성을 통하여 구분 할 수 있다.

 

수요의 교차탄력성 공식

 

 수요의 교차탄력성 공식은 다음과 같다.

 

 만약 X재 가격의 변화율과 Y재 수요량의 변화율이 반비례 한다면, 즉 X재 가격이 올랐는데 Y재 수요량이 감소한다면 우리는 X재와 Y재를 동시에 소비해야 하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X재 가격이 오름->X재를 구매하지 못함->(X재와 Y재를 함께 소비해야 하는데)X재를 소비하지 못하므로 Y재도 소비하지 못함->Y재 수요량 감소> 와 같은 매커니즘을 거친 것이다. 즉 두 재화는 보완재 인 것이다.

 따라서 보완재의 교차탄력성은 0보다 작다/보완재의 교차탄력성은 음수이다. (X재의 가격이 오른다면(+) Y재 수요량이 감소(-), ))

 

 

 반대로, X재 가격의 변화율과 Y재 수요량의 변화율이 비례한다면, 즉 X재 가격이 오를때 Y재 수요량이 함께 오른다면, 우리는 X재와 Y재가 서로 대체품의 관계에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X재 가격이 오름->X재를 구매하지 못함->X재를 대신 할 수 있는 Y재를 더 많이 구입->Y재 수요량 증가> 와 같은 매커니즘을 거친 것이다. 즉 두 재화는 대체재 인 것이다.

 따라서 대체재의 교차탄력성은 0보다 크다/대체재의 교차탄력성은 양수이다. (X재의 가격이 오른다면(+) Y재의 수요량이 증가(+))

 

교차탄력성 정리

 

 정리하면 위와 같다. 참고로, 교차탄력성이 0이면 서로의 가격 변화가 서로의 수요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므로 두 재화는 독립적이다. 따라서 수요의 교차탄력성이 0인 재화를 서로 독립재 관계에 있다고 한다.

 

 

수요 :구매자가 거래 대상을 사고 싶어하는 욕구(이 때, 살 능력이 뒷받침 되어야 유효하다.)

공급 : 판매자가 거래 대상을 팔고자 하는 의도

구매자 :효용 추구

판매자 : 이윤 추구

 

1. 수요

수요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이 모두 같을 때, 가격이 하락(증가)하면 수요량은 증가(감소)한다.

<수요표>

수요표

위에서 서술된 수요 법칙의 이유를 설명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첫 째로 가격의 관점에서 보면, 가격이 낮을 수록 사람들이 더 많이 사고 싶어 할 것이라는 것이다. 둘 째로 수요량의 관점에서 보면, 많이 살 수록 소비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가격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즉 효용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예컨대 초콜릿을 먹는다고 가정하면 첫 번째 초콜릿은 맛있지만 두 번째는 첫번째보다는 물리지 않겠는가? 세 번째 까지 먹으면 오히려 먹기 싫어질 수도 있다.

 

<수요곡선>

수요곡선

위 표를 옮기면 다음과 같은 수요곡선이 나타난다. 수요곡선은 우하향 하는 형태를 띤다.

 

수요 함수

Q는 수요량(Quantitiy)를 의미하며 P는(Price) 가격을 의미한다. D는 수요함수이다. 재미있는 점은 자연과학과는 다르게 종속변수가 X축에 있고 독립변수가 Y축에 있다는 것이다. 그래프를 그리는 방식을 이렇게 정착시킨 사람은 알프레드 마샬이라는 경제학자인데, 그 시대에는 생산량에 따라 가격을 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이다.(그 시대의 대표적인 시장이 농산물 시장인데, 농산물 시장의 경우 단기간에 거래될 수 있는 수량은 거의 고정되어 있다.) 

 

<수요의 변동요인> - 수요와 수요량은 다르다. 수요량은 점의 개념이며 수요는 선의 개념이다.  수요곡선에서 수요량은 가격에 의해서만 변동하며 수요는 다음과 같은 수요의 변동요인에 의해 변동한다. (수요의 변동요인들은 수요법칙에서 '수요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소득, 선호, 관련재의 가격, 미래가격변화(예상), 구매자 수 변화

 

- 보완재와 대체재

 

관련재에는 보완재와 대체재가 있는데, 보완재는 같이 소비할 때 효용이 올라가는 것이며 대체재는 말그대로 특정 재화를 대체할 수 있는 속성을 가진 다른 재화를 의미한다.

 

보완재의 예시로는 커피와 설탕이 있을 수 있다. (커피에 설탕을 넣어 먹으면 더 큰 효용을 얻을 수 있다고 가정하자!) 그럼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할 것이다. 

 

보완재 관계

 대체재의 예시로는 녹차와 홍차가 있을 수 있다. (녹차 대신 홍차를 마셔도 비슷한 효용을 얻을 수 있다고 가정하자!) 그럼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할 것이다. 녹차 가격이 오르면 홍차를 마시면 되니까. 반대로 녹차 가격이 내리면 홍차 대신 녹차를 마실 것이다.

 

대체재 관계

- 소득

일반적으로 소득이 증가하면 수요도 증가하지만 그렇지 않은 재화도 있다.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도 함께 증가하는 재화를 정상재, 소득이 증가하면 오히려 수요가 떨어지는 재화를 열등재라 한다. 열등재의 예시에는 2G 휴대폰, 라면 등이 있다. (물론 2G폰을 소득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휴대폰 이용 시간을 줄이려고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 라면이 맛있어서 먹는 사람들이 있는 것을 감안하면 열등재의 기준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

+ Recent posts